-
주소부터 코드까지 해외송금 시 필요한 정보 총정리쉽고 간편한 금융상식 2022. 12. 1. 11:00
목차
국제송금을 처음 해보시는 분들은 받는 사람의 계좌정보만 가지고 은행을 찾았다가 SWIFT CODE, SORT CODE 등 낯선 용어들에 당황하기 쉽습니다. 해외계좌송금 시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정보들을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송금인 정보
- 송금인 성명
- 송금인 주민등록번호(혹은 여권번호)
- 송금인 주소
- 송금인 전화번호
해외계좌송금 시 필요한 정보 첫번째는 송금인 정보입니다. 해외로 보내는 국제송금인 만큼 전부 영어로 작성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은행에 따라서는 한글과 영문을 병기하여 작성하도록 하거나, 주소의 경우 한글만 작성하게끔 하는 곳도 있습니다. 영문주소가 필요할 땐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을 이용하면 됩니다.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영문주소 변환기 사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에 접속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주소를 국문으로 검색한 다음, 이미지에 표시되어 있는 ‘영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영문주소 변환을 할 수 있습니다.
영문주소 변환기 이밖에 주의해야할 점은 성과 이름입니다. 은행 가운덴 성(Last name)과 이름(First name)을 따로 적게 하는 곳도 있는데, 이때 성과 이름을 반대로 적지 않도록 한번더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수취인 정보
- 수취인 성명
- 수취인 국적
- 수취인 주소
- 수취인 전화번호
수취인 정보는 무조건 영어로 작성해야 합니다. 이때 주의하여 작성해야 할 것은 수취인 성명으로, 반드시 통장 계좌주명과 동일하게 적어주어야 합니다.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인 Paulo Jorge Gomes Bento처럼 이름이 길고 띄어쓰기가 많은 경우, 띄어쓰기를 철저히 지켜야 해외송금 지연이 없습니다.
3. 수취인 계좌 정보
- SWIFT(BIC) CODE
- 수취은행 고유번호(ABA/BSB/SORT/ETC No.)
- 수취은행 소재국
- 수취은행 이름
- 수취은행 주소
- 수취인 계좌번호
많은 분들이 국제송금 시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이 바로 수취인 계좌 정보 작성입니다. 제일 어려워하시는 SWIFT CODE와 수취은행 고유번호에 대해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1. SWIFT(BIC) CODE
스위프트 코드(SWIFT CODE)는 외환거래를 위해 은행끼리 메시지를 교환할 때 사용하는 국제코드입니다. SWIFT CODE는 온라인상에 수취은행명+SWIFT CODE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경우 뱅크 오브 아메리카 SWIFT CODE는 BOFAUS3N, 웰스파고 SWIFT CODE는 WFBIUS6S, 미국씨티은행 SWIFT CODE는 CITIUS33, JP모건 체이스 SWIFT CODE는 CHASUS33입니다.
3-2. 수취은행 고유번호(ABA/BSB/SORT/ETC No.)
은행에 따라, 국가에 따라 수취은행 고유번호 작성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은 ABA No 코드 9자리, 호주는 BSB CODE 6자리, 영국은 SORT CODE 6자리가 필요합니다. 해외송금 시 필요한 정보로 수취은행 고유번호를 요구받았다면 수취인에게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수취은행 고유번호는 수취인이 통장 혹은 온라인/모바일뱅킹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그 외 송금 정보
- 수취인과의 관계
- 송금사유
- 해외은행수수료부담 여부
우리나라는 국외로 나가는 자금을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취인과의 관계와 송금사유를 적어주어야 합니다. 또한 은행에서 진행하는 해외계좌송금은 송금 신청 시점에 발생하는 수수료 외에 중계은행 수수료 등이 추가로 발생합니다. 대부분 은행에서는 이를 송금인이 부담할지 수취인이 부담할지 선택할 수 있게끔 옵션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조금 더 간단한 해외송금 방법이 필요하다면 해외송금앱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SBI코스머니 같은 해외송금앱의 경우, SWIFT를 쓰지 않고 최신 핀테크 기술로 빠르게 송금하기 때문에 SWIFT CODE 등을 찾아볼 필요도, 입력할 필요도 없습니다. 송금 수수료 외에 추가 수수료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도 장점입니다.
전 동일인에게 주기적으로 해외송금을 진행하고 있는데, SBI코스머니의 경우 한번 송금을 진행하고나면 다음부턴 해외송금 시 필요한 정보를 ‘불러오기’할 수 있어 자주 애용하고 있습니다. 보다 간편한 해외송금 방법을 찾으신다면 이런 어플이 훌륭한 대안이 될 듯 합니다.
'쉽고 간편한 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미국, 중국, 베트남 대표은행 SWIFT CODE 총 정리 (0) 2022.12.07 스태그플레이션 위기…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과의 차이는? (0) 2022.12.06 해외송금 5만불 이상 보낼 때 필요한 절차는? (0) 2022.11.25 "은행? 어플?" 많이 사용하는 해외송금 방법 2가지 (0) 2022.11.23 핀테크 뜻과 테크핀, 빅테크와의 차이는? (0) 2022.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