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태그플레이션 위기…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과의 차이는?쉽고 간편한 금융상식 2022. 12. 6. 10:35
날이 갈수록 스태그플레이션 공포가 더욱 커지고 있다는 경제 뉴스가 쏟아져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월가의 금융 전문가 92%가 예상하고 있다는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이며,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스태그플레이션 뜻
뱅크오브아메리카 펀드매니저 27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2023년 미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것이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무려 92%에 달했습니다.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 역시 내년 우리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지지 않기 위해 선택적인 재정 확대가 필요하다며 우려했습니다. 그렇다면 전세계 경제를 공포에 떨게 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불경기(stagnation)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이자 신조어입니다. 즉, 경기는 침체된 상태에서 물가는 상승하는 현상을 뜻하며 자본주의 시장에서 가장 위험한 경계 상태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경기가 좋을 땐 앞으로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 심리로 물가가 상승하며, 경기가 좋지 않을 땐 수요가 줄어들고 지갑도 닫으면서 물가가 내려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은 불황과 함께 물가도 급상승하는 독특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전세계 경제전문가들이 심각한 상태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스태그플레이션이 더욱 심화된 슬럼프플레이션(slumpflation)으로 이어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과 해결법은?
스태그플레이션 원인은 복합적으로 일어나지만, 22년 12월 현재 우려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은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가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힙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장기간 경기가 침체되어있었는데, 이런 상황에서 지나치게 과공급된 유동성이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것입니다. 또한 국내 한 증권사 연구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공급망이 붕괴된 것이 경기 침체로 이어져 스태그플레이션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원인으로 꼽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태그플레이션 해결법에 정답은 없지만,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주장이 있습니다. 오히려 경기 침체를 유발하는 것이 유일한 스태그플레이션 해결법이라는 유명 경제학자 데이비드 윌콕스의 주장입니다. 그는 인플레이션을 2% 정도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위해 실업률을 높이고 임금 인상, 가격 설정 등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다소 잔인하게 여겨지긴 하나, 현재의 상태보다는 낮은 경제 성장과 실업 상태에서 회복하는 것이 스태그플레이션에서 빠져나오는 가장 빠른 방법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의 차이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보통 경제성장은 인플레이션을 동반하며, 인플레이션이 지나치게 악화되어 더이상 수습할 수 없는 상황을 ‘초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짐바브웨는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2006년, 2008년, 2009년 3번에 걸쳐 화폐 개혁을 실시했으며 그럼에도 해결이 되지 않자 짐바브웨 달러를 금지시키고 미국 달러를 사용하다가, 현재는 두 화폐를 병행하여 쓰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의 대표적인 예시인 짐바브웨 달러 디플레이션은 반대로 물가가 계속하여 하락하는 상황을 뜻합니다. 디플레이션 상황에 돌입하면 보유하고 있던 실물 자산의 가치가 하락하고, 소비는 정체되며 실업자가 늘고 주가가 떨어지는 등 심각한 연쇄효과가 발생합니다. 디플레이션의 예시로는 1920년대부터 전세계를 침체기에 빠뜨렸던 대공황이 대표적입니다. 물가가 하락함과 동시에 실업자도 많아지면서 구매자가 적어지고, 그때문에 더욱더 물가가 떨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된 것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경기 침체 상태에서의 물가 상승을 의미합니다. 물가가 오른다는 점에서 인플레이션과 동일하지만,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은 호황기에 오는 반면 스태그플레이션은 불황기에 나타난다는 것이 큰 차이입니다.
'쉽고 간편한 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송금 소요시간과 지연 사유 한눈에보기 (1) 2022.12.14 한국, 미국, 중국, 베트남 대표은행 SWIFT CODE 총 정리 (0) 2022.12.07 주소부터 코드까지 해외송금 시 필요한 정보 총정리 (0) 2022.12.01 해외송금 5만불 이상 보낼 때 필요한 절차는? (0) 2022.11.25 "은행? 어플?" 많이 사용하는 해외송금 방법 2가지 (0) 2022.11.23